-
성인 ADHD 이야기: 생각을 멈추는 방법ADHD 정보 모음 2021. 12. 20. 10:16
안녕하세요 : )
오늘은 언제나 생각이 많은 ADHD인들을 위해 생각을 멈추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를 가져왔습니다. adhd환자뿐 아니라, 평소 생각이 많아 고민이라면, 도움이 되실 거예요.
잊기 위해서 메모하자
제가 사용하는 방법은 바로 [메모하고 잊어버리기]입니다. 말 그대로, 기록을 하고 그 생각을 잊어버리는 것입니다.
뚱딴지같은 소리처럼 들리겠지만, 적어서 기록을 남긴다는 건, 더 이상 내가 내 머릿속에 담아두지 않아도 된다 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저는 어린 시절부터 생각이 너무 많았고, 생각에 관련된 자기 계발 서적이나 심리학 책들을 닥치는 대로 다 읽어보았는데도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있는 실마리를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어떤 책들은 '생각이 많은 건 축복이야!'라고 긍정을 하기도 하는데요, 생각 때문에 하루 종일 짓눌려 사는 저에게는 그다지 와닿지 않았어요.
ADHD을 알게 되며 저의 생각 과잉이 ADHD의 특징 중 하나라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약의 효과가 생각을 덜 하는데 도움을 주기는 하지만 원래 성향자 체도 그냥 생각이 많아서 그런지, 저는 여전히 웬만한 사람들보다는 아주 많이 생각을 하는 편입니다.
덕분에 창의력이 요구되는 일에서 좋은 성과를 내곤 하지만, 하루 종일 생각이 끊이지 않는다는 건 굉장히 지치는 일입니다.
지금 생각하지 않을 자유
생각을 멈추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메모]입니다. 수업을 듣거나 일을 할 때, 관련되지 않은 다른 생각이 튀어나올 때면 저는 모두 기록을 해둡니다. 기록을 한다는 것은, 지금 생각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뜻입니다. 메모가 있으니, 나중에 다시 생각하면 되니까요. 기발한 아이디어라도 까먹을 까 봐 전전긍긍하지 않아도 되고요.
메모를 잘하는 법
1. 메모를 할 때는, 주제와 맥락을 함께 적자.
메모에서 중요한 점은 나중에 다시 읽을 때를 대비해 어떤 주제의 생각이고, 왜 이런 생각을 했는지 맥락을 꼭 적어놓아야 합니다. 특히나 ADHD라면 정말 온갖 주제의 생각들이 떠오를 텐데, 한 두 단어로 메모를 남겨놓으면, 나중에 스스로 해독이 불가능하게 됩니다. 그러면 메모하는 의미가 없겠죠?
2. 주제별로 메모를 모아두기.
메모의 좋은 점은, 내 생각을 트랙킹 할 수 있고 활용할 수 있다는 겁니다.
메모를 남기며 제가 생각하는 주제가 어느 정도 정해져 있다는 걸 알게 된 후, 주제에 맞추어 메모를 모으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하나의 주제에 대한 생각이 계속 쌓이는 것이 보이고, 그것들이 모여 점점 더 생산적인 생각으로 발전하게 되더라고요.
생각을 멈추기 위해 시작한 메모가, 생각을 더 발전시키는 도구가 되었습니다 : )
지금 당장 시작하는 메모
이 글을 보고 메모를 시작하기로 결심하셨다면,
아이폰 기본 메모 어플 + 해시태그 기능을 추천드립니다.
이 글로 예를 들자면#생각멈추기 #adhd #메모
생각이 많을 때 메모를 하면 도움이 된다.
메모를 할 때 주제를 적어서 까먹지 않도록 하자.
메모를 주제끼리 모아서 보면 생산적인 생각에 도움이 됨.이렇게 메모를 하실 수 있겠죠? 나중에 봤을 때 쉽게 이해할 수 있고, 태그별로 메모를 모아볼 수 있답니다.
기본 어플이라 접근성도 좋고 사용도 편리해서 추천드려요. 특히나 맥북, 아이패드, 아이폰을 함께 사용하신다면 더욱더 유용할 거예요.
오늘은 생각을 멈추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보았습니다.
여러분만의 생각을 멈추는 팁, 메모하는 팁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공유해주세요!
다음 글에서 만나요, bye : )
성인ADHD의 다른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 아래 링크를 눌러주세요 ▼▼▼
https://thebeginnersstory.tistory.com/3ADHD 치료 1년차: 집중력의 함정 - 식욕
안녕하세요 :) 오늘은 'ADHD의 식욕과 집중력'이라는 주제로 이야기 나누어보려고 합니다. 메틸페니데이트 란? ADHD에 주로 사용되는 약의 성분으로, 중추신경 각성제의 일종입니다. 브레인 포그
thebeginnersstory.tistory.com
https://thebeginnersstory.tistory.com/2
성인 ADHD 치료, 1년 차 이야기
[The ADHD Society] > 1년 차, adhd. 나는 작년 여름 즈음 ADHD 진단을 받고 약을 꾸준히 복용 중이다. 1년 차라고 썼지만, 따지고 보면 일 년 반이다. 내년이 되면 햇수로는 3년이 될 텐데, 벌써 시간이 이
thebeginnersstory.tistory.com
'ADHD 정보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 ADHD 이야기 : 여성의 ADHD 증상 및 특징 (14) 2021.12.25 성인 ADHD 이야기: 목표 달성을 위한 계획표 만들기 (13) 2021.12.24 성인 ADHD 이야기: 낮은 자기효능감, 무기력증 극복 방법-1 (16) 2021.12.23 성인 ADHD 이야기: 조용한 ADHD (ADD) (12) 2021.12.22 성인 ADHD 이야기: 도파민 중독 (15) 2021.12.21